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동아시아학과 1115

경학박사 經學博士

경학박사 經學博士 정의 고려시대 지방에 파견한 교수직. 내용 성종은 각 주·군·현 등의 지방에서 학생을 선발하여 서울에서 교육을 받도록 하였는데, 일정한 교육을 받은 뒤 고향에 돌아가기를 원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987년(성종 6) 학문에 통달한 자를 뽑아 경학박사로 삼아서 12목(牧)에 각각 1인씩을 보냈다. 경학박사는 교유(敎諭)를 돈독히 행하고, 각 주·군·현의 관리나 백성 중 가르칠만한 자제가 있으면 교육을 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좋은 성적을 올린 자에게는 상을 내리고, 성적이 부진한 자는 임기가 만료되어도 그대로 유임시켜 성과를 올리도록 하였는데, 989년 나주목(羅州牧)의 경학박사 전보인(全輔仁)이 맡은 바 소임을 열심히 하였다 하여, 공복(公服)과 쌀 50석을 받았다. 12목의 경학박사 중..

공맹순(孔孟筍) 철학

수리논리연구(Studies in Mathematical Logic) ‘수학의 기초’ 이론을 중심으로 칸토어(Cantor), 프레게(Frege), 러셀(Russell), 브라우스(Brouwer), 힐버트(Hilbert), 괴델(Godel), 타르스키(Tarski) 등의 사상을 연구한다. 공맹순 철학 연구(Comparative Studies in Pre-Ch’in’s Confucianism) ‘논어’.’맹자’.’순자’에 나타나 있는 철학적 문제들을 선별하여 비교 분석한다. 유학의 분화 문제가 주요 연구 대상이다. 과학철학(Philosophy of Science) 과학적 탐구의 본질을 고찰한다. 과학적 법칙, 설명 및 발전의 문제를 귀납주의, 오류주의 (falsification), 환원주의, 과학적 실재론, ..